공부하고 기록하기/UXUI

[전환율 높이기] 3. 히트맵 이용하기

아메봉봉 2022. 10. 16. 22:04

웹사이트를 개선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이다.

  • 좋은점을 발견한다->어떻게 늘릴까
  • 나쁜점을 발견한다->어떻게 줄일까
  • 특징을 발견한다->어떻게 활용할까


이중에서도 가장 시작하기 쉬운 게 '나쁜 점을 발견한다->줄인다' 이다.
예를 들어, 이미 이탈율이 좋은 페이지를 보다 더 좋게 하려고 할 경우, 디자인 변경이 악영향을 줄 리스크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. 그러나 이탈율이 나쁜 페이지가 발견된 경우는 사이트 내에 좋은 페이지를 참고하여 개선할 수 있다.

[유저의 행동을 가시화하여 병목현상을 발현하는 방법]


여기에서는 구글 애널리스틱이 아닌, 히트맵 툴을 소개합니다.
히트맵 툴을 유저의 행동 데이터를 색의 강약으로 가시화 한 것이다. 이름 그대로, 히트맵은 유저가 잘 보고 있는 곳이 열을 띈 것처럼 빨간색 그라데이션으로 표시됩니다. 반대로, 유저가 보고 있지 않은 곳은 파란 색으로 표시됩니다. 또 해당장소까지 어느정도의 유저가 스크롤해서 봤는지의 비율도 알 수 있습니다.
히트맵 툴은 1페이지 내의 유저의 행동데이터를 가시화 할 수 있으므로, 페이지 내의 콘텐츠의 있어서의 과제의 원인을 파악에 적합합니다.

1. 클릭 히트맵으로 개선 장소를 찾는다.


히트맵 툴에는 클릭 된 장소에 포커스해서 색을 붙이는 기능이 있다.
이를 보면 어떤 장소에 많이 클린 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. 이는 유저가 이 부분에 콘텐츠에 관심을 가지고 그 부분에 상세페이지를 보려고 클릭 하였다고 가설을 세울 수 있다.

그런데, 만약 실제 그부분이 버튼도 배너도 아닌 링크 없는 그냥 단순 텍스트 콘텐트 였다면...?
여기서 상세페이지로 가는 링크를 넣어줌으로써 전환율을 높일 수 있을것이다.

2. 룩히트맵과 스크롤히트맵으로 과제와 개선책을 찾는다.


룩히트맵은 유저가 페이지 내에서 어디를 보고 있는지를 가시화해 줍니다. 옅은 파란색->옅은 빨강을 그라데이션으로 가시화 해 줍니다.

3. 세그먼트로 개선책을 찾는다.